2023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 평균소득 및 월평균보수월액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.
청약을 하기 위해서는 소득 제한이 많이 걸려 있기에 꼭 확인을 월평균보수월액을 확인하셔서 청약을 하셔 야합니다.
보통 급여는 세전과 세후로 나뉘는데 세전 금액에서 식대비는 비과세로 빠지기 때문에 월 실 수령액에서 금액이 더 빠질 수 있으니, 꼭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. 확인 방법은 아래 자세하게 설명 드리겠습니다.
2023년 50% ~ 100%를 보시면 아래와 같습니다.
청약신청시 기본이 되는 구간이 100% 입니다.
몇인 가구인지에 따른 금액도 올라갑니다.
평균소득 100% 이하의 청약지원 유형
1. 일반공급 유형
2. 특별공급의 생애최초(우선공급)유형 130%이하 우선공급 합니다.
3. 특별공급의 신혼부부(우선공급의 배우자소득X)유형
4. 공공주거환경 임대주택 유형 지원시 100% 이하
5. 국민임대주택 유형 지원시 100% 이하
2023년 110% ~ 160%를 보시면 아래와 같습니다.
청약시 110% 부터 시작되는 공고를 자주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. 몇인 가구인지를 잘 확인하시고 금액적인 부분 체크 하셔서 청약을 하시는 실수가 없기를 바랍니다.
평균소득 110% 이상 청약지원 유형
1. 노부모부양 유형
2. 다자녀가구 유형
3. 특별공급의 신혼부부(우선공급의 배우자소득O)유형
4. 우선공급 생애최초 130%이하 (매물의 50%공급)
5. 일반공급 생애최초 130% ~ 160%이하 (매물의 20%공급)
6. 추첨공급 생애최초 160%초과 (매물의 30%공급)
5. 특별공급의 신혼부부 잔여공급 유형
내 월평균 보수월액 확인하기
월평균 보수월액이 꼭 4대보험 가입자가 세전 금액에 예를들어 300만원이라고 하더라도 꼭 확인 하셔야 할 부분이 월 식대비가 급여에 포함 되었는가 입니다. 보통 월 10만원에서 20만원이 식대비가 포함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꼭 확인하시고 아깝게 10만원 20만원 차이로 소득에서 밀려서 청약을 못하는 경우를 피하시기 바랍니다.
직장인의 경우
-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접속 -> 직장보험료 검색
- 국세청홈택스홈페이지접속 ->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조회
자영업자 또는 사업자의 경우
- 국세청홈택스홈페이지접속 -> 소득금액증명원 조회
이렇게 2023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과 월평균 보수월액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봤습니다. 청약시 소득기준을 잘 확인하셔서 청약하시는데 어려움이 없기를 바랍니다.
'유용한정책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년 출산지원금 총정리 BEST 4가지 꼭 혜택 받으세요 (2) | 2023.09.07 |
---|---|
출산가구 주택지원을 강화 합니다. 꼭 아셔야 혜택 받습니다. (0) | 2023.08.31 |
뉴홈청약 당첨되고 싶으면 꼭 보셔야 합니다. (0) | 2023.08.24 |
신혼희망타운 당첨을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것 5가지 (0) | 2023.08.23 |
송파구 거여동 거여아파트 국토부실거래가 전세, 매매_23년08월22일 (0) | 2023.08.22 |